주식투자를 위한 고급용어 정리(1) – 선물, 옵션, 레버리지, 인버스, 공매도

— 선물, 옵션, 레버리지, 인버스, 공매도 이해하기

주식 공부를 시작하다 보면 ‘선물’, ‘옵션’, ‘레버리지’ 같은 말이 어렵게 느껴지죠.
하지만 이 개념들을 이해하면 시장의 큰 흐름과 투자 심리를 읽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오늘은 파생상품의 기초라 할 수 있는 5가지 핵심 용어를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
1. 선물(Futures) — 미래 가격에 베팅하는 계약

선물이란 미래의 일정 시점에 특정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거래하기로 한 약속이에요.
예를 들어 ‘코스피200선물’은 미래의 코스피200지수를 현재 시점에서 사고파는 계약이죠.

투자자는 상승할 것 같으면 선물 매수, 하락할 것 같으면 선물 매도를 합니다.
수익 기회가 크지만, 손실도 확대될 수 있는 고위험·고수익 상품이므로 초보자는 신중해야 합니다.


2. 옵션(Options) — 권리를 사고파는 투자

옵션은 ‘선택권’을 거래하는 개념입니다.
특정 자산을 미래의 일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(콜옵션), 팔 수 있는 권리(풋옵션) 가 있죠.

예를 들어 A주식이 10,000원일 때 ‘1개월 뒤 10,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’를 가진다면, 주가가 오르면 권리를 행사해 이익을 보고, 떨어지면 권리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.

즉, 옵션은 손실을 제한하고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구이지만, 구조가 복잡해 이해가 필요합니다.


3. 레버리지(Leverage) — 지렛대로 수익을 키우는 방법

‘레버리지’는 영어로 ‘지렛대’라는 뜻이에요.
적은 돈으로 더 큰 수익을 내기 위해 차입(대출) 을 활용하는 개념입니다.

ETF 중에 ‘KODEX 레버리지’처럼 이름이 붙은 상품이 있죠.
이런 ETF는 기초지수의 2배 움직임을 목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.
지수가 1% 오르면 ETF는 2% 오르지만, 반대로 1% 떨어지면 2% 하락합니다.

즉, 레버리지는 방향을 맞히면 짧은 시간에 큰 수익을 얻지만, 반대로 가면 손실도 두 배가 됩니다.


4. 인버스(Inverse) — 하락장에서 수익을 노리는 전략

인버스는 ‘역(逆)’이라는 뜻입니다.
일반 ETF가 오르면 인버스 ETF는 떨어지고,
지수가 떨어지면 인버스 ETF는 오릅니다.

예를 들어 코스피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KODEX 인버스 ETF를 매수하면,
시장 하락 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.
즉, 하락장에서도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상품이죠.

다만 장기 보유 시 복리효과로 손익이 왜곡될 수 있으니 단기 대응용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
5. 공매도(Short Selling) —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거래

공매도는 없는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팔고, 나중에 주가가 떨어졌을 때 다시 사서 갚는 방식이에요.
주가가 내려가면 차익을 얻지만, 반대로 오르면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.

공매도는 시장의 과열을 막고 가격을 합리적으로 만드는 기능도 있지만,
개인에게는 진입 장벽이 높아 다소 부담스러운 투자입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선 주식관련 고급용어 5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
모든 투자자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.